moonbeam
2016. 10. 5. 10:45
시렁 눈 부채 손
"안목은 높지만
자기가 할 수 있는 능력과 재주는 없다는 말"
시렁 (출처: 한옥 전통에서 현대로(한옥의 구성요소), 조전환, 주택문화사)
시렁은 옛날 선반으로,
팔을 올려야 물건을 꺼낼 정도로 높았습니다.
"시렁 눈"은 이렇게 보통보다 높은 눈을 말하는 것이지요.
그리고
손이 부채 같다면, 손가락을 마음껏 움직일 수 없겠죠 ^^;;
"부채 손"은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손을 의미한답니다.
요즘 "똥손"이라는 말도 많이 쓰던데 ㅎㅎ
비슷한 의미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:)
"내 급한 일을 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
다른 사람의 일부터 먼저 해줌을 이르는 말"
"한-"은 "크다"의 순 우리말입니다.
"한 댁"은 커다란 집, 예전에는 양반집을 가리키는 말이었지요.
사실 이 속담은
문헌에 등장하는 "가장 오래된 속담"이랍니다.
《삼국유사》에 다음과 같이 적혀 있어요.
(…) 귀진(貴珍)이라는 사람의 집에 욱면(郁面)이란 여종이 있었는데, 주인을 따라 절에 가서 승려를 따라 염불을 하였다. 주인은 욱면이 일을 잘 하지 않는다고 여겨 매일 곡식 2섬씩을 주며 이를 하루 저녁에 다 찧게 하였다. 그러자 욱면이 서둘러 금세 다 찧고 절로 돌아와서 염불하기를 아침저녁으로 게을리하지 않았다. (…) _삼국유사(三國遺事), 「욱면비념불서승(郁面婢念佛西昇)」
여종이 절에 가서 염불을 하고 싶어,
주인댁 방아를 열심히, 빠르게 찧었다는 이야기와 연결된 속담이었습니다!
"삼청(三廳)"은
고려ㆍ조선시대에 궁궐을 지키던 금군(禁軍)이 속한 관청,
금군청(禁軍廳)을 일컫거나,
금군청에 속한 세 관아를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.
이 금군청에는 온돌방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,
불을 잘 때지 않아서 겨울에 매우 추웠다고 합니다..
(예나 지금이나 군인분들이 고생이 많으십니다ㅠㅠ)
"온돌"에 불을 안 때니, "냉돌"이라고 한 것이지요.
장터에는 늘 사람이 북적거리기 마련이죠.
예전에는 다들 장날에 맞춰 모였으니까요.
그렇게 많은 사람들 속에서 어떤 사람을 찾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겁니다.
그 가운데서
잿빛 승복을 입고, 머리도 민머리에,
염주를 걸고, 목탁까지 든 스님을 찾는 건
쉬워도 너무 쉬운 일이었겠죠? ^_^
반대말로는,
"한양에서 김서방 찾기"가 있답니다 ㅎㅎ
예전부터 우리나라는 김(金)씨가 많았나 봅니다 :)
이 사람, 저 사람 다 김서방이니 찾기가 어렵다는 거지요~
천만년을 버텨갈 우리 속담의 품격
《우리말 절대지식》
백과사전보다 자세하고,
국어사전만큼 깊이 있고,
이야기책처럼 재미있다!
그 어떤 책보다 친절한 속담 이야기.
1가구 1권 보급이 시급합니다!
10월 9일 한글날 출간!
10월 5일부터 서점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♡